Essay
수요일의 과외 선생님
나는 수요일마다 초등학교 1학년 남자애의 과외 선생님이 된다. 남자애의 이름은 진혁이고, 내가 가르치는 과목은 국어와 영어다. 1시간 짜리 수업을 하러 수요일마다 편도 1시간 넘게 걸리는 길을 찾아가는 것이다. 심지어 그 집은 어마무시한 언덕길에 위치한 빌라다. 날씨가 좋더라도 힘든 길일 판에, 이상하게도 과외가는 날마다 날씨가 험상궃다. 핸드폰이 지잉-하고 울려서 보면 ‘폭설 주의보’ 또는 ‘폭우 주의보’ 경고 둘 중 하나다. 최근엔 2주 연속 수요일마다 폭설 주의보가 뜨고 있다. ‘아 오늘은 미룰까…’ 하는 마음이 굴뚝같지만, 날씨 좋은 날을 고르다가는 수업을 할 날이 남아나지 않을 것이다.
눈 쌓인 언덕길을 살금살금 오른다. 몇 번 미끄러질 뻔하며 과외집에 도착하니 진혁의 어머니가 반갑게 맞아주고, 진혁이가 소리를 지르며 날 맞아준다. 그 목소리에 무사히 도착했다는 안도감을 잠시 느낀다. 국어 과외는 오늘의 단어들을 배우고 그걸 응용하고, 단어 게임도 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진혁이의 머릿속에서 굴려지는 단어들은 어른이 굴리는 것과는 다르다. 나 같은 어른은 생각이 너무 정형화돼있는데 어린이는 가끔 보면 시인같다. 그가 조잘대는 말을 들으면 세속에 물든 귀를 씻고 맑아진 기분이다.
장난꾸러기 진혁이는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의자에서 꿈틀댄다. 몸을 동글게 말고, 두 발을 책상 위에 올리고, 갑자기 교재에 그림을 그린다. 그런 진혁이를 가만히 진정시키는 게 내 일이다. 진혁이는 가끔 자신이 모은 포켓몬 카드들을 보여주며 내게 귓속말을 한다. “사실 저 엄청 부자예요.” 영어 시간에 받아쓰기를 할 때는 쉬운 단어만 내달라고 떼를 쓴다.
그런 진혁이가 가끔 허를 찌르는 날이 있다. 언제는 교재에 남한과 북한 단어가 나오길래 ‘북한’에 대해서 가르쳐주었다. 우리는 같은 언어를 쓰고 같이 생활하는 한 나라였는데 서로 싸우고 갈라지게 되었다고. 그는 물었다.
“왜 싸웠어요?”
“미국인은 우리 나라 올 수 있는데 왜 북한은 여행을 못와요?”
같은 심오한 질문엔 잠깐 할말을 잃기도 했다.
오늘 국어 시간엔 ‘특징’이라는 단어를 가르쳤다.
“진혁아, 너가 다른 친구들과 다른 특징은 뭐야?”
“음… 저는 스키를 잘 타요! 학교 복도에서 이렇게 이렇게!”
벌떡 일어나 스케이트타는 시늉을 하는 진혁이한테 나는 작은 소리로 정정하지만 (“그건 스케이트 아닐까?”) 그는 내 말을 깔끔히 무시한다.
“진혁아. 그럼 아빠의 특징은 뭐라고 생각해?”
“아빠는 방구를 잘 싸요!”
뜻밖의 집안 대소사를 듣게 된 나는 당황해서 웃고 만다. 그래. 방구 잘 뀌고 똥 잘 싸는 것도 특징이 될 수 있구나. 아이의 눈으로 보는 사람의 본질은 그렇게 말랑말랑하고 원초적인 것이었다. 눈이 많이 와서 싫지 않냐고 하면, 눈싸움을 할 수 있어 재밌다고 하는 아이. 그를 가르친지 반 년이 넘었는데, 언젠가부턴 과외로 돈버는 것 이상의 가치를 얻는 것 같다. 평소에 볼 일 없던 8살 어린이와 교류를 하며 시야가 넓어져간다. 사소한 것에서 재미를 얻는 천진함을 배운다.
이렇게 거리가 멀어도, 날씨가 험해도 매주 가는 보람이 있다고. 과외 시간이 끝나면 진혁이는 “끝났다!” 환호를 지르며 제 부모에게 달려가고, 나는 부모님에게 진혁의 학습 상황에 대해 잠깐의 브리핑을 한다. 방구를 잘 싸는 진혁의 아빠 앞에선 조금 웃음이 나오려하지만 참는다. 과외를 끝내고 집에 가는 길. 이 폭설에도 다치지 않고 무사히 돌아가니 그것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기어이 길바닥에 엉덩방아를 찧고만다.
콰-당!
나도 진혁이처럼 눈 위에서 스키를 잘 타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툴툴 털고 일어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