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
이름이 같은 아이들
이름이 같은 동명이인을 보면 묘한 감정이 생긴다. 감정 이입을 넘어선 감정 전이랄까? 생김새가 닮은 것보다도, 직업, 생일이 같은 사람보다도 이름이 같은 것은 뭔가 본질적으로 묘한 동질감을 준다. ‘우린 영혼이 연결되어 있어.’ 오래된 미신 같은 내면의 소리가 들려와 단박에 마음을 줘버리는 편이다. 그동안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많이 봐왔다. 민정이란 이름은 내 세대에서 가장 흔한 이름이었으니까.
중학교 때 같은 학급에 있던 동명이인 친구. 누가 이름을 부르면 “어?”하고 동시에 쳐다보는 통에, 구별을 위해 ‘큰 민정’, ‘작은 민정’으로 나뉘어 불렸던. 성만 달랐을 뿐, ‘우린 성격도 닮았다’, ‘민정이들은 다 이쁘지 않냐?’ 하면서 팔짱 끼고 붙어 다녔다. 이름이라는 속성으로 쉽게 같은 그룹이 되었다. 같은 이름을 가진 연예인들에도 비교적 쉽게 호감이 갔다. 현대 기업들의 메일링 마케팅이 이런 심리를 이용하는 걸 보면 나만 ‘이름 이입’을 하는 게 아닌가 보다. ‘고민이 많은 민정님을 위한 뉴스!’ 같은 제목을 보면 클릭하게 되는, 아마도 발신자가 노렸을 본능적 끌림. 수신자 이름을 넣어 맞춤 발송하는 이 알고리즘 고도화의 산물이 내게 가장 와닿았던 건 몇 년 전이었다.
‘민정이’는 네이버를 통해 무작위로 쏟아지던 아이들의 이름 속에서 내게 와닿았다. 내 이름을 보고는 무의식적으로 기사를 눌렀다. 인터넷 알고리즘 속에서 희미하게 반짝이는 단 하나의 은빛 실로 연결된 것 같았다. 불우한 아이들의 사연을 많이 봐왔지만 민정이의 사연은 유독 특별하게 와닿았다. 같은 이름을 갖고 태어난 아이. 성도 안 쓰여있는 그냥 ‘민정이’. 내가 네가 됐을 수도, 네가 내가 됐을 수도 있는데. 민정이는 초등학교에도 들어가기 전, 뇌병변 장애를 판정받았다. 재활 치료를 평생 해나가야 하는 큰 장애다. 그 애의 엄마 아빠는 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모금을 받게 되었다. 나는 단박에 그 사연에 빨려 들어가 눈물을 흘렸다.
나도 생활비가 빠듯하지만, 이름이 같은 아이 하나도 후원을 못 할까? 하는 마음에 기부 버튼을 눌렀다. 나는 어린 시절이 불행했다고 불평해 왔는데, 민정이의 어려운 형편 앞에선 할 말을 잃었다. 왜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의 운명이 이렇게나 다를까. 나는 너를 가여워하는 입장이라는 것 그 자체로도 죄책감이 들어. 모든 민정이들이 행복하면 좋겠어라고 생각하고선, 나는 어린 민정이를 금방 잊었다.
내 이름에 이입하던 버릇은 결혼하면서 남편 이름에까지 확장됐다. 남편 ‘지호’와 이름이 같은 어린이 ‘지호’의 사연은 최근 뉴스 기사에서 보았다. 지호는 지금 10살이고, 과거 학대로 실명한 상태다. 5살 때 지호는 유흥업소 다니는 엄마와 그 엄마가 데려온 아저씨와 함께 살았었다. 아저씨는 아이스크림을 먹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호를 마구 때렸고 병원에 데리고 갔다와서는 또다시 때렸다. 무거운 자전거를 지호 배에 2시간이나 올려놓는 짓도 했다. 작은 몸으로 잔혹한 폭력을 견뎌낸 지호는 한쪽 눈을 잃고 고환도 제거해야 했다. 그 엄마는 폭력을 방치했는데도, 지호는 “엄마 생각하면서 참았어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지금 지호는 격리되어 여러 아이들을 그룹으로 보살피는 ‘그룹홈’이라는 시설에서 지내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받긴 하지만 운영비는 턱없이 적다.
그 기사를 읽는데 앉은 테이블 위로 눈물이 후두둑 떨어졌다. 하필 난 식당에서 혼자 샌드위치를 먹고 있었다. 공공장소니까 금방 그쳐야지 생각했지만 눈물 줄기는 더 촘촘하게 흘렀다. 휴지 세 장으로 틀어 막아지지 않을 정도였다. 뭘 먹으면서 우는 모습이 얼마나 궁상맞아 보일지 걱정하기엔 지호의 사연이 당장 내 앞에 있었다. 휴지를 더 빼 와서는 테이블 위에 펼쳐놓고 더 본격적으로 숨죽이고 울었다. 점심 시간에 핸드폰을 보는 많은 사람들을 제치고 내게로 닿은 그의 사연. 어쩌면 어떤 평행 우주에선 내 남편이 네가 됐을 수도, 네가 남편이 됐을 수도 있는 건데. 100번은 불러본 이름이지만 오늘따라 너무나 연약하게 들렸다.
그 애가 다른 이름이었어도 나는 울었겠지만, 이름으로 인해 슬픔이 두 배로 증폭된 것 같았다. 이제서야 이 사연을 알게 됐다니, 이런 학대가 방치되는 세상이라니 가슴이 미어졌다. 식당 안 다른 사람들은 너무도 평온히 웃고들 있었다. 문득 나만 슬퍼하고 있는 걸 발견한 나는 이상한 상상을 했다. 옆 테이블에 다가가 스마트폰 화면 속 기사를 보여주는 상상. “여기 좀 보세요. 지호라고, 이런 아이도 있어요. 도움이 필요한 애예요.” 그렇게 이웃들에게 한 명 한 명 알려주는 장면을.
그와중에 눈물 젖은 샌드위치를 열심히 다 먹고는 그룹홈에 대해 더 검색해 봤다. 믿을 만한 곳이라는 판단이 들어 정기 후원을 결제했다. 할 수 있는 게 당장 이것밖에 없다는 것이 속상했다. 이런 아이들이 많을 텐데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며 식당을 나섰다. 바깥 햇살은 너무 따스하고 맑았다. 지호의 이야기는 잊고있던 어린 민정이에 대한 기억도 다시 불러왔다.
이번에는 그 애들을 쉽게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저녁에는 남편 지호에게 이 기사를 공유하고 같이 슬퍼해야지. 지호도 지호와 민정이에게 이입하고, 그렇게 각자 같은 이름들에 이입하면서 슬픔이 퍼져나가면 사회가 조금 나아지지 않을까. 소외된 모든 아이들의 이름이 더 확장되고 많이 불리길. 앞으로 태어날 이름들에도 이 마음들이 옮겨붙길.
*홍보성, 대가성 글은 절대 아닙니다! 혹시나해서 그룹홈 링크도 남겨요!
http://www.grouphome.kr/pages/page_1.php
|